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치주과_01] 임플란트1차 (Implant 1st Surgery) 술식

치과 컨텐츠 저장소/치주과

by 덴스마일 2021. 2. 13. 23:32

본문

반응형

임플란트 1차 수술 (Implant 1st surgery ,#36 implant 진행 )

■ 요약

임플란트 1차 수술 술식 / Cover Screw 사이즈 표기/ Fixture 사이즈 표기 / ISQ의 의미 / 기타 Tip

■ 기본정보

  • CC : 왼쪽 아래 잇몸이 아파요
  • 연령 78Y 남성 / 전신질환여부 : 당뇨병(DM), 고혈압(HTN)

■ 사용기구 및 재료

H202 거즈, 핸드피스,ISQ,Surgical engine, 4.0dafilon, Bone rongeur, needle holder, dean scissor, Implant kit(Luna), 리도카인 3개, saline, saline syringe, inject, bone tray, probe, retractor, dental mirror, tissue forcep, blade holder(#15), mosquito hemostat, chisel, periosteal elevator, pincette, extraction forcep, surgical currette.

 

■ 개요

1. Implant Surgery 1차 & 2차 술식 단계

  • 1차 수술 시 Implant 고정체(fixture) 식립 후 cover screw 연결 후 상부에서 연조직 봉합하여 마무리
  • 2차 수술 시 Implant Fixture에 cover screw 연결하며, 상악은 1차 수술 후 5~6개월 후, 하악은 2~3개월 후 진행.     (골이식을 동반한 Implant Surgery는 치유기간 더 부여함)

 

■ 술식과정

 

1. 기구 Setting 및 Unit chair 표면 소독 진행

  • Surgical engine에 연결된 Low hand piece 를 1200 min으로 지정 이것은 drilling 회전값을 뜻해. 술식마다 다를 수 있으니 참고!
  • 튜브를 Saline 통에 담그고 Hand piece에 연결 → Low handpiece를 사용하여 fixture 식립을 하기 때문에 핸드피스에서 물이 나와야 열로인해 뼈나 주위 조직이 손상되지 않아. 감염 위험이 있기때문에 유니트체어에서 나오는 물이 아닌, 멸균 증류수가 튜브를 통해 따로 나올 수 있도록 연결시켜주는거야. 
  • Suction tip을 멸균 호일로 감싸기 / unit chair light 손잡이 부분도 멸균 호일로 감싸기 → 감염 방지를 위해서

2. 환자 피부 소독 및 구강 내 소독 후 마취 진행

  • 마취는 Long needle 사용 
  • 환자 피부 소독은 베타민 사용
  • 구강 내 소독은 H2O2(과산화수소) 사용 

3. Extraction forcep(하악 구치용) 이용하여 발치 후 Saline으로 세척

 

4. 치은 절개 및 치조골 노출 ( with Blade #15번 이용)

  • Periosteal elevator로 치은 거상 후 발치 부위의 연조직 제거
  • surgical curette으로 발치와 내부의 염증 긁어낸 후 saline으로 세척 →스마일Tip : 옵져베이션을 하다보니 염증을 긁어낸 후 보이는 환자의 뼈가 다른 환자에 비해 황색을 띄고 있었는데 이런 현상을 '황골화'라고 한대.

5. Handpiece에 drill 장착 후 임플란트 Fixture 식립을 위한 골삭제 (drilling)

  • Implant Kit - Luna 사용 → 어느 회사의 Kit를 사용하느냐는 술자의 스타일에 따라서 달라진대 !
  • Drilling 할 때 3.5 → 4.0 → 5.0 → 6.0 숫자의 Bur을 순서대로 사용함 ( Drilling 직경이 갈수록 넓어짐을 의미)
  • Cover screw OL8 사용 → OL 은 Fixture의 직경(너비)를 뜻해. 아래 그림을 참고해!

  • Fixuture 심고 Wrench 이용하여 수동으로 fixture 고정 → wrech는 fixture 식립 후 수동으로 돌려가며 고정시켜주는 도구야.
  • ISQ (ex.87) 확인 ( 기구 : ostell) → 아래의 그림을 참고해!

  • Tissue forcep으로 Implant 주변 연조직 제거 및 Fixture 식립 진행 → 아래의 그림을 참고해!

6. Driver 이용하여 Cover screw를 장착

 

7. Bone rongeur로 Fixture 위치 조정

  • Bone rongeur : 발치 후 치조골의 절제 및 기타 수술시 치조골을 절제하는 기구
  • Cover screw가 잘 들어가지 않아서 위치 조정했음. 그 후에는 cover screw가 잘 들어감

8. Suture 진행 with Dafilon 4.0

 

9. Saline으로 수술 부위 세척 후 Saline 묻힌 gauze 물리고 1시간 지혈

 

10. 1주일 후 Stich out 진행

  1.  

■ 어시스트 Tip

 

1. Gingi brush는 Implant 사이사이를 청소하는 기구야. 가끔씩 찾는 술자들이 있으니 참고!

 

2. Implant를 식립하고 나면, 신경이 없기 때문에 통증을 잘 느끼지 못하므로 환자 스스로 청결관리를 신경써줘야해. 보통 환자가 치과를 오게되는 것은 통증이 있어서 오게되는데 임플란트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지. 그래서 나중에 알고 내원하는 경우가 많으니 꼭 청결관리에 유의하도록 안내해야해~

 

3. 선생님들 중에서 술식 중 치아나 잇몸 상태를 보고 금연 권유를 할 때도 있어. 임플란트 후에는 흡연이 열감 및 흡입력으로 인해 치유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니 술식 중간중간에 말씀해주시는 것이지. 다만 무리한 금연을 요청드리는 것은 환자분께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니 왜 흡연을 줄여야하는지 차근차근 설명해서 권유하는 것은 센스!

 

4. 간혹 수술을 앞두고 마취 후 환자가 답답해하거나 긴장으로 인해 호흡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때는 무리해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유니트 체어를 올려서 안정을 취한 후 다시 눕혀서 진행하도록 해야해.

 

5. 임플란트 수술은 출혈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술자와 어시스트의 시야 확보가 굉장히 어려워. 따라서 석션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한데, suction할 때 연조직에 하기보다는 경조직에 하면 좀 더 수월하고 편하게 할 수 있어! 연조직의 경우 석션세기가 너무 세면 연조직이 석션팁을 꽉 막아버리기 때문이지. 따라서, 3대구치쪽이나 경조직에  tip을 대고 하고 있다가 수술 단계가 진행될 때 마다 환자의 목구멍으로 혈액과 물이 넘어가지 않도록 재빠르게 석션해주는 것은 많이 연습해줘야해! 제일 중요한 것은 술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는것!

 

 

 


임상실습을 하면서 오랜 시간동안 매일 서있다보면

저녁에 다리가 팅팅 부어서 고생한 경험이 다들 있을거야.

심해지면 하지정맥류에 걸릴 수도 있을 만큼 다리 붓기 관리는 매우중요하며,

실습 이외에 병원생활을 함에 있어서도 혈액순환 관리는 반드시 필요해.

자기전 하체 스트레칭과 함께 병원에서 사용하기 좋은 아이템 하나 추천해줄게!

(참고로 나도 1년 실습 기간 중 처음 4-5개월은 그냥 생활하다가

다리가 너무 잘부어서 나머지 6개월정도는 압박의료붕대를 착용하고 지냈었어.)

 

https://link.coupang.com/a/vMHfK

 

발란스핏 압박 종아리형 혈전 보호대 베이지 M

COUPANG

www.coupang.com

 

※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본 게시글은 교과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진료 순서, 사용하는 기구 및 재료는 술자마다 상이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술식 및 재료관련, 또는 그 외 피드백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하단 서명의 이메일로 연락주시면

확인 후 최대한 빠르게 적용하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더 완성도 높은 컨텐츠를 위하여 함께 참여하는 문화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