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치주과_02] 조직유도재생술 (GTR) 및 치주판막술(F.O)

치과 컨텐츠 저장소/치주과

by 덴스마일 2022. 8. 31. 21:37

본문

반응형

조직유도재생술 (GTR) 술식 및 치주판막술 (F.O)

 

■ 요약

조직유도재생술과 치주판막술의 개념

■ 기본정보

CC : 예방과에 스케일링 받으러갔다가 치주과로 의뢰받았어요

연령 Y / 성 / 전신질환여부 : 57Y / M / 당뇨병 

■ 사용기구 및 재료

dental mirror, probe, pincette, probe, curette 7개 (치주판막술에 사용되는 세트), sickle, scaling tip, blade holder 2개, blade(#12,#15), periosteal elevator 2가지, 초음파 scaler, 마취 syringe, Lidocaine emple, saline, saline syringe,cup, needle 2개, orban knife, kirkland knife, nabers probe, chisel, H2O2솜 2개, 베타딘 솜, 거즈, bone tray

 

■ 개요

1. 치주판막술 (F.O / Flap Operation)이란? (=치은박리소파술)

:  치은연하소파술 (Subgingival curettage, SGC)만으로 치은연하 치석을 제거하기 어렵거나 치조골에 대한 처치가 필요한 경우에 시행하는 시술. 

  • 치석, 치태가 잇몸 깊숙한 곳에 생겨서 잇몸 염증이 심하고, 치은연하소파술을 시행한 이후에도 염증이 없어지지 않는 경우, 치은점막을 거상(젖혀내고) 치조골과 치아뿌리 주변의 염증과 치석을 제거하는 외과적 술식

2. 조직유도재생술 (Guided tissue regeneration) 

: 치주조직의 재생을 유도하는 술식으로써, 잇몸재생술

  • 자연치아 주위의 치조골이 흡수된 부분에 치조골 이식을 진행하는 경우이며, 흡수정도에 따라서 차폐막과 뼈이식재를 사용하여 진행한다.
  •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서는 치조골이 튼튼하고 충분한 골량이 확보되어있어야 식립이 용이한데, 기존의 치조골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임플란트 식립 전 식립할 부위의 치조골을 튼튼하게 생성해주는 역할을 함

 

■ 술식과정

 

※ 모든 술식 전 기본 기구 Setting 및 Unit chair 표면 소독 진행

 

1. 기구준비 및 구내, 구외 소독진행 

  • 외과적 수술을 진행할때는 입안 소독뿐만 아니라 입 주변에도 베타딘(Betadine)을 커튼볼에 뭍혀서 원형을 그리며 소독해준다 (감염방지)

2. 마취진행

  • 마취진행시 mirror를 사용하여 협점막(볼)을 흔들면서 리도카인을 주입시킨다 (환자가 느끼는 통증을 줄이기 위함)
  • 마취 후 제대로 마취가 되었는지 probe 촉진을 이용하여 확인함

3. 수술 전 사진촬영 진행 및 이전방문때 했던 처치의 stich out 필요하다면 진행

  • 치주질환이 어느정도 진행된 환자들의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꾸준하게 치주과에 내원하여 관련 처치를 진행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음
  • 사진촬영시 mirror로 볼을 당기고 intra photo mirror를 사용하여 촬영 (촬영시 거울에 김서리지 않게 어시스트는 air 불어줘야함)

4. probing 진행

  • 어시스트가 있다면 술자가 불러주는 내용 차팅하지만, 간혹 바로 시스템에 기입하는 원장님들이 계신데 이때는 차트 기록시 꼭 키보드는 알콜솜을 이용하여 사용한다 (교차감염 방지)

5. Blade로 치은변연 따라서 술식부위 절개 *하단 내용 참조

  • Blade 12번 : 개시할때 주로 사용됨
  • Blade 15번 : 치아주변 및 골막절개할경우 사용됨

6. Periosteal elevator(골막기자) 이용하여 판막을 거상하고 포 위에 #12 blade 준비

7. Orban knife (Interdental knife /치간치은용 칼)과 kirkland knife(치은절제용 칼)로 치은절개를 마무리 함

  • Orban knife : 치간치은절제, surgical blade로 접근 어려운 설측, 구개측에 유용
  • Kirkland knife : 치은절제용, 초기 변연치은 경사절개시 사용

8. 치근활택술 진행 * curette 종류 하단참조

  • Curettes와 초음파 scaler를 치은연하치석의 정도에 따라 번갈아 사용하며 제거
  • 초음파 scaler(ultrasonic scaler) Tip은 스케일러팁을 돌려서 장착시켜놓음 (어시스트)
  • Chisel scaler이용하여 치석제거 진행

9. Suture 진행 (봉합)

  • black silk 식염수에 담가놓고 사용 (시야확보를 위해서 black silk 사용)
  • needle holder와 pincette 이용하여 suture
  • suture가 마무리 되지 않은 채로 다른 술식을 동시 진행할 경우
    • Gauze를 구각부위에 대고 needle holder로 suture needle을 찝어서 구강밖으로 늘어뜨려놓음 (임시로 실이 풀리지 않도록 볼 밖으로 실을 꺼내놓는거야 - 술자마다 스타일 다름!)
    • 술식부위에 따라 고개를 돌릴때마다 light 방향변경을 잘해줘야해 (suture할때는 시야확보가 중요하기 때문!)
    • 초음파 scaler 사용시 걸어놓는 suction tip 사용 (ㄷ자 모양 석션팁을 많이 사용해)
    • 구치부 깊은 협측부분 suction할때는 양손을 세워서 석션하면 좀더 편하고 치은 조직에 대는것보다 경조직, 치아부위에 대고있는게 혈액이나 타액을 쉽게 빨아들일 수 있어서 좋아. 가끔 잇몸에다 대고있으면 살이 빨려서 혈액이 원활하게 석션이 안되어 시야확보가 어려운경우가 있으니 꼭 구치부 경조직에다 대고있기!
    • 구치부 치은거상시에는 elevator와 mirror를 왼손에 동시에 잡고 치은 및 볼 거상이 가능해 (처음에는 어려울 수 있으므로 술자 스타일에 맞게 위치를 잘 잡자~)

10. Gauze로 어느정도 지혈 후 골이식 준비 (조직유도재생술 술식 시작)

  • Nabers probe를 이용하여 치근이개부 probing 진행
  • Saline 뿌리고 치료 부위 세척
  • round bur 이용하여 골이식할 공간 확보
  • TC (테트라사이클린), Do bone (제품명), Remaix를 준비
    • TC는 deppendish에 담겨있으며 거상된 판막 안쪽 치근부에 채워넣은 후 bone tray에 Do bone과 remaix가 준비된 후 제거함
    • Do bone은 이식할 뼈가 syringe에 담겨있으며 saline에 담궜다가 사용 (흩날리는거 방지?)
    • Remaix는 probe를 이용하여 사용부위에 알맞은 크기로 측정한 후 오려서 사용함 (Dean scissor 사용하여 잘라놓음)

11. 골이식 진행

  • surgical curette 이용하여 bone을 채워넣음 (어시스트는 periosteal elevator로 치은 거상하고 있기)
  • 채워넣은 bone 주변에 remaix를 세움

12. Suture(봉합)진행

  • dafilon 5.0 silk를 이용하여 봉합
  • 봉합시 협측에서 설측방향으로 진행 후 다시 설측에서 협측으로 진행하는 것을 반복 (술자에 따라 스타일 다를수있음)
  • 봉합 후 saline으로 봉합부위 세척

13. 초음파 scaler로 최종 마무리 후 페리오클린 연고를 치은변연, 치간부에 도포함

  • 연고도포 후 거즈로 문질러서 마무리

14. Orascar 치료부위에 붙인 후 술식 마무리

15. 마무리 방사선 사진 찍기.

 

 

■ 오늘의 질문

 

1. 치아부위별 Gracey curette 용도 구분

  • 1-2 / 3-4: 전치부
  • 5-6: 전치, 소구치, 전치 순설면
  • 7-8 : 구치 협설면, 소구치 근원심면
  • 9-10 : 구치 협설면
  • 11-12 : 구치 근심면, 소구치 근원심면
  • 13-14 : 구치원심면, 전치설면
  • 15-16 : #11-12 변형, 경사심한 구치 근심면
  • 17-18 : #13-14 변형, 경사심한 구치 원심면

2. Nabers probe

  • Furcation probe (이개부 탐침)
  • 이개부 병소 검사 위해 사용

3. TC (Tetracycline) , 테트라사이클린

  • 항생제, 세균성 감염을 방지하는 역할

4. Remaix의 역할

  • 골이식을 진행한 부위에 뼈가 재생할 때 나쁜 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차폐막 역할을 함.

5. 외과용 Blade의 역할 (no.11,12,15번)


본 게시글은 교과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진료 순서, 사용하는 기구 및 재료는 술자마다 상이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술식 및 재료관련, 또는 그 외 피드백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하단 서명의 이메일로 연락주시면

확인 후 최대한 빠르게 적용하도록 노력 하겠습니다.

 

더 완성도 높은 컨텐츠를 위하여 함께 참여하는 문화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